e데일리뉴스 | 진위천 상류 송탄취⋅정수장과 상수원보호구역은 1979년부터 반세기에 걸쳐 펑택시민의 생명수, 수질과 생태계 보전을 담당하면서 삶의 질을 고양하고 동시에 지역발전의 토대를 이루어왔다. 송탄상수원 폐쇄 결정권자인 정장선 평택시장이 폐쇄 신청하여 2024년 11월 22일자로 한강유역환경청 명의로 폐쇄 고시되었다.
관보에 게시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해제 절차 마지막 단계인, 11월 25일 경기도에 송탄상수원 보호구역 해제 인가 신청서를 제출하였다. 수도기본계획 변경안(상수원 폐쇄)의 승인 절차가 통상 1년~6개월 기간임에도 특이하게 채 한 달 남짓 만에 이루어졌다. 평택시 역사상 가장 신속한 행정으로 기록될 것이다.
용인반도체국가산단 개발이라는 압박에 어쩔 수없는 대승적 결단이라 한다. 그러면서 시민의견을 수렴했다고 한다.
송탄상수원 해제 압박은 정장선 시장 임기 중에 유독 있었던 것이 아니다. 선거가 있는 정치철마다 수많은 압박이 있어 왔다. 용인 등 인근 지역 정치인들을 필두로 단체장, 주민들까지 평택시청 앞에까지 넘어와 삭발, 농성 시위에 경기도 주관 상생협의체 구성, 국책연구기관의 연구용역, 상생협약체결을 맺기도 하였다. 2007~09년, 2015~19년 두 차례에 특히 심각한 갈등을 겪었다.
반세기 동안 어느 정당 출신의 평택시장이건, 지역 내에서는 서로 갈등하기도 하는 다른 성향의 시민단체도 평택의 소중한 생명 자원을 합심하여 지켜온 전통과 가치를 가지고 있다.
정시장은 당선 이후 시민, 언론에 수 없는 자화자찬이 있었다. 3선 국회의원, 집권당 사무총장 경력으로 중앙정치권에 힘을 써 평택시에 많은 것을 가져오겠다고 말이다. 결과는 정치력은 고사하고 관료 출신 시장보다도 못한 백기투항이다.
평택시민 85.6% 절대다수의 상수원 해제 반대에도 ‘무조건 반대’할 수 없다고 한다. 평택시민보다 상급 기관에 굴종하는 비굴한 행태는 평택시민의 수치이다. 평택시민의 대의를 훼손한 정치꾼이다. 평택의 역사에 길이 남겨질 것이다.
송탄상수원은 해제가 아니라 평택시민의 식수와 미군, 삼성전자 등 국가적 중요시설이 많은 평택시의 위급상황에 대비하는 비상 급수원으로 존치해야 한다. 국책연구기관의 한 연구도 팔당상수원에 수도권 2천만 인구가 의존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평택시의 지역자원인 송탄상수원의 존치는 시민의 생존과 미래 물 안보의 핵심이다.
송탄상수원을 해제하는 거창한 명칭의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 조성과 상생협력 증진을 위한 협약’은 평택시민에게는 공개도 못하면서 자신의 치적인 양한다. 알려진 협약 내용 중 어느 하나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송탄상수원만 오롯이 해제되었다.
송탄상수원을 해제하면서 삼성 할당 몫이었던 팔당 광역상수 15만톤을 받는다고 자랑한다. 새로 팔당물을 받으려면 관로, 정수장 건설비용 3,500억원을 평택시가 고스란히 부담해야 한다. 더욱이 15만톤의 원수 비용, 기존 송탄취정수장에 투입된 비용, 폐쇄와 해체 비용, 근무지를 상실한 공무원 등 평택시가 모두 떠안아야 한다.
무능한 시장이 무한한 발전 가능성 있는 지방자치단체를 어떻게 무너뜨리는지를 현실에서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평택시 발전의 미래상과 정치적 소신 없이, 정치 잔기술만으로 수십 년 동안 세 번의 국회의원, 두 번의 평택시장직까지 누리게 베푼 평택시민들에게 크나큰 배신의 상처를 남겼다.
이제 평택시민들은 알고 있다. 이제 공직에 대한 더 이상의 어설픈 욕심으로 시민들의 상처를 건들지 말고 조용히 물러날 것을 간곡히 당부한다.